사업목표
담수생물자원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가치 확보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2022년
-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2,296종 발굴
- 미개척 분류군 연구 본격 추진(’22년~)
- 담수생물표본 11,007종, 45.8만점 확보
- 담수생물 특화 수장시스템 구축
- 디지타이징 스튜디오 도입 및 담수생물 표본 디지털 이미지 생산 개시(’21년~)
2023년~2025년
- 미개척 분류군 연구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3,200종 발굴
- 편형동물, 환형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50종 발굴
- 보존 중심의 수장고 운영에서 디지털 기반 공유형 수장고로 확대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1,000건↑) 및 콘텐츠 제작·공유, 대국민 공개
2026년~2028년
- 희소 분류군 발굴 등 연구 영역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4,000종 발굴
- 해면동물, 완보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100종 발굴
- 표준화된 표본 수장 및 정보의 지속적 관리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2,000건↑)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대국민 공개·활용 확대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2023년~2025년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2026년~2028년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유지
대상사업 1.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담수생물종의 실체 규명(신종/미기록종 발굴)으로 국가생물종 목록 확대
- 보유 생물표본의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국가 주요 자산인 수장고의 기능 강화
- 수장 생물표본의 디지털 이미지 구축으로 영구적 보전 및 활용 제고
담수하천, 특이서식지(동굴, 습지, 기수 등) 조사로 담수 동식물 및 미생물 확보
신종
동굴옆새우
습지플라나리아
라시박터 낙동엔시스
에머리셀럽시스 코리아나
표본
한국강도래
물달팽이
가는몸주머니선충
심보플루라 오피칼라타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담수생물 표본 확보 및 수장 (‘30년까지 100만점 목표)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및 보존상태 상시점검
생물표본 정보의 보전과 활용 확대를 위한 디지털화 추진
생물표본 디지털이미지의 콘텐츠화로 폭넓은 활용
대상사업 2.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 담수 생명연구자원의 국가적 활용을 위한 지원 강화
- 담수생물자원은행의 국제적 지위 향상으로 자원은행 이용자의 신뢰도 향상
- 고객과의 소통 확대로 담수생물자원은행 만족도 상승
생물자원 배양체, 추출물 확보
자원특성에 따른 안정적 보존 관리
-
담수조류 생체 보존
-
세균·균류·천연물 동결 보존
-
동결 건조 보존
주요시설 현황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2024년 운영실적
우수실적
국내 4개 자원관 중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ISO 20387) 인정 최초 획득
- ISO 20387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매뉴얼 등 품질문서 작성
- 인원의 교육·시험을 통한 적격성 확보
- 생물자원은행 운영의 잠재적 리스크를 식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
공인생물자원은행 인정서
국내 4개 생물자원관 중
최초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획득
절대수생균류 발굴 기반 구축으로 담수생물주권 확보를 선도
- 절대수생균류의 효과적인 발굴에 필요한 분리·배양 및 장기보존기술 부족
- 발굴 대상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겨울철 저온성 담수시료 확보
- 저온 분리법 도입 및 자생종 맞춤형 배양방법 개발
- 장기보존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절대수생균류의 배양체, 장기보존(동결) 적용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절대수생균류 미기록종 6종을 발굴,
국가생물종목록 등재 확대
생물표본 디지털전환 분야의
국내 선도기관으로 자리매김
- 표본 디지털화를 추진중인 국내 4개 기관 중 우리 기관의 기술력이 가장 우수
- 해외학자 초청 교육 및 국제심포지엄 개최
- 국내 8개 수장기관 실무자 대상 교육으로 디지털화 기술을 전파
국제심포지엄 현장
고화질 미생물 표본 이미지 제작,
X-ray CT 조영 촬영 등
생물 표본의 디지털화 가능 범위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