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 국가자산화

사업목표

담수생물자원보전지속가능가치 확보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2022년

  •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2,296종 발굴
    - 미개척 분류군 연구 본격 추진(’22년~)
  • 담수생물표본 11,007종, 45.8만점 확보
  • 담수생물 특화 수장시스템 구축
    - 디지타이징 스튜디오 도입 및 담수생물 표본 디지털 이미지 생산 개시(’21년~)

2023년~2025년

  • 미개척 분류군 연구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3,200종 발굴
    - 편형동물, 환형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50종 발굴
  • 담수생물표본 13,000종, 60만점 확보
  • 보존 중심의 수장고 운영에서 디지털 기반 공유형 수장고로 확대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1,000건↑) 및 콘텐츠 제작·공유, 대국민 공개

2026년~2028년

  • 희소 분류군 발굴 등 연구 영역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4,000종 발굴
    - 해면동물, 완보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100종 발굴
  • 담수생물표본 15,000종, 80만점 확보
  • 표준화된 표본 수장 및 정보의 지속적 관리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2,000건↑)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대국민 공개·활용 확대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2022년

  • 소재 다양성 4,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기반 마련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양호 등급

2023년~2025년

  • 소재 다양성 6,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우수 달성

2026년~2028년

  • 소재 다양성 7,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유지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우수 유지

대상사업 1.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담수생물종의 실체 규명(신종/미기록종 발굴)으로 국가생물종 목록 확대
  • 보유 생물표본의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국가 주요 자산인 수장고의 기능 강화
  • 수장 생물표본의 디지털 이미지 구축으로 영구적 보전 및 활용 제고

담수하천, 특이서식지(동굴, 습지, 기수 등) 조사로 담수 동식물 및 미생물 확보

신종

  • 동굴옆새우 사진 동굴옆새우
  • 습지플라나리아 사진 습지플라나리아
  • 라시박터 낙동엔시스 사진 라시박터 낙동엔시스
  • 에머리셀럽시스 코리아나 사진 에머리셀럽시스 코리아나

표본

  • 한국강도래 사진 한국강도래
  • 물달팽이 사진 물달팽이
  • 가는몸주머니선충 사진 가는몸주머니선충
  • 심보플루라 오피칼라타 사진 심보플루라 오피칼라타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 담수생물 표본 확보 및 수장 그래프 담수생물 표본 확보 및 수장 (‘30년까지 100만점 목표)
  •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및 보존상태 상시점검 사진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및 보존상태 상시점검
  • 꺽저기(멸Ⅱ), 남방동사리(멸Ⅰ), 다묵장어(멸Ⅱ), 여울마자(멸Ⅰ), 금개구리(멸Ⅱ), 갯게(멸Ⅱ), 붉은발말똥게(멸Ⅱ), 칼세오리옆새우(멸Ⅱ), 긴꼬리도약옆새우(고유종), 김띠노래기(고유종), 광릉긴나무좀(고유종), 부산입술대고둥(고유종), 물고사리(멸Ⅱ), 세뿔투구꽃(멸Ⅱ), 정향풀(멸Ⅱ), 주요 표본 디지털이미지(멸종위기야생생물, 고유종) 생물표본 정보의 보전과 활용 확대를 위한 디지털화 추진
  • 온라인 대국민 공개, (교육) 교구 제작, (전시) 전시 지원, (홍보) 보도자료 생물표본 디지털이미지의 콘텐츠화로 폭넓은 활용

대상사업 2.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 담수 생명연구자원의 국가적 활용을 위한 지원 강화
  • 담수생물자원은행의 국제적 지위 향상으로 자원은행 이용자의 신뢰도 향상
  • 고객과의 소통 확대로 담수생물자원은행 만족도 상승

생물자원 배양체, 추출물 확보

  • 시료채집
  • 순수분리
  • 동정

자원특성에 따른 안정적 보존 관리

  • 담수조류 생체 보존 사진
    담수조류 생체 보존
  • 세균·균류·천연물 동결 보존 사진
    세균·균류·천연물 동결 보존
  • 동결 건조 보존 사진
    동결 건조 보존

주요시설 현황

01.시료 전처리 실 (·소독, 분쇄, 필터 처리 등), 02.분리배양실(·배양체 순수 분리 등), 03.대량배양실(·배양체 매스 확보), 04.담수조류 생체 보존실(·담수 조류 생체 보존 ·32,000개 보관가능), 05.동결건조 보관실(·세균 등 장기보존(10년) ·800,000개 보관가능), 06.유전자원 수장고(·조류, 세균, 균류 보존 ·312,000개 보관가능), 07.추출물 보관실(·추출물 보존 ·78,000개 보관가능), 08.액체질소 보관실(·세균, 균류 보존 ·100,000개 보관가능)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2024년 운영실적

우수실적

국내 4개 자원관 중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ISO 20387) 인정 최초 획득

  • 국제표준 인정 획득을 위한 기반마련
  • ISO 20387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매뉴얼 등 품질문서 작성
    • 인원의 교육·시험을 통한 적격성 확보
    • 생물자원은행 운영의 잠재적 리스크를 식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
  • 공인생물자원은행 인정서 사진 공인생물자원은행 인정서

국내 4개 생물자원관 중
최초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획득

절대수생균류 발굴 기반 구축으로 담수생물주권 확보를 선도

  • 절대수생균류의 효과적인 발굴에 필요한 분리·배양 및 장기보존기술 부족
  • 발굴 대상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겨울철 저온성 담수시료 확보
  • 저온 분리법 도입 및 자생종 맞춤형 배양방법 개발
  • 장기보존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 멸종위기 2급 금개구리 사진 절대수생균류의 배양체, 장기보존(동결) 적용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절대수생균류 미기록종 6종을 발굴,
국가생물종목록 등재 확대

생물표본 디지털전환 분야의
국내 선도기관으로 자리매김

  • 표본 디지털화를 추진중인 국내 4개 기관 중 우리 기관의 기술력이 가장 우수
  • 해외학자 초청 교육 및 국제심포지엄 개최
  • 국내 8개 수장기관 실무자 대상 교육으로 디지털화 기술을 전파
  • 국제심포지엄 현장 사진 국제심포지엄 현장

고화질 미생물 표본 이미지 제작,
X-ray CT 조영 촬영 등
생물 표본의 디지털화 가능 범위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