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 국가자산화

사업목표

담수생물자원보전지속가능가치 확보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2022년

  •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2,296종 발굴
    - 미개척 분류군 연구 본격 추진(’22년~)
  • 담수생물표본 11,007종, 45.8만점 확보
  • 담수생물 특화 수장시스템 구축
    - 디지타이징 스튜디오 도입 및 담수생물 표본 디지털 이미지 생산 개시(’21년~)

2023년~2025년

  • 미개척 분류군 연구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3,200종 발굴
    - 편형동물, 환형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50종 발굴
  • 담수생물표본 13,000종, 60만점 확보
  • 보존 중심의 수장고 운영에서 디지털 기반 공유형 수장고로 확대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1,000건↑) 및 콘텐츠 제작·공유, 대국민 공개

2026년~2028년

  • 희소 분류군 발굴 등 연구 영역 확대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4,000종 발굴
    - 해면동물, 완보동물 등 미개척 분류군 100종 발굴
  • 담수생물표본 15,000종, 80만점 확보
  • 표준화된 표본 수장 및 정보의 지속적 관리
    -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생산(년 2,000건↑)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대국민 공개·활용 확대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2022년

  • 소재 다양성 4,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기반 마련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양호 등급

2023년~2025년

  • 소재 다양성 6,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우수 달성

2026년~2028년

  • 소재 다양성 7,000종 확보
  • 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유지
  • 자원은행 국제표준 인정 유지
  • 은행 이용자 만족도 우수 유지

대상사업 1. 담수생물종 목록 확대

  •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담수생물종의 실체 규명(신종/미기록종 발굴)으로 국가생물종 목록 확대
  • 보유 생물표본의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국가 주요 자산인 수장고의 기능 강화
  • 수장 생물표본의 디지털 이미지 구축으로 영구적 보전 및 활용 제고

담수하천, 특이서식지(동굴, 습지, 기수 등) 조사로 담수 동식물 및 미생물 확보

신종

  • 동굴옆새우 사진 동굴옆새우
  • 습지플라나리아 사진 습지플라나리아
  • 라시박터 낙동엔시스 사진 라시박터 낙동엔시스
  • 에머리셀럽시스 코리아나 사진 에머리셀럽시스 코리아나

표본

  • 한국강도래 사진 한국강도래
  • 물달팽이 사진 물달팽이
  • 가는몸주머니선충 사진 가는몸주머니선충
  • 심보플루라 오피칼라타 사진 심보플루라 오피칼라타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 담수생물 표본 확보 및 수장 그래프 담수생물 표본 확보 및 수장 (‘30년까지 100만점 목표)
  •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및 보존상태 상시점검 사진 담수생물표본 특화 수장고 운영 및 보존상태 상시점검
  • 꺽저기(멸Ⅱ), 남방동사리(멸Ⅰ), 다묵장어(멸Ⅱ), 여울마자(멸Ⅰ), 금개구리(멸Ⅱ), 갯게(멸Ⅱ), 붉은발말똥게(멸Ⅱ), 칼세오리옆새우(멸Ⅱ), 긴꼬리도약옆새우(고유종), 김띠노래기(고유종), 광릉긴나무좀(고유종), 부산입술대고둥(고유종), 물고사리(멸Ⅱ), 세뿔투구꽃(멸Ⅱ), 정향풀(멸Ⅱ), 주요 표본 디지털이미지(멸종위기야생생물, 고유종) 생물표본 정보의 보전과 활용 확대를 위한 디지털화 추진
  • 온라인 대국민 공개, (교육) 교구 제작, (전시) 전시 지원, (홍보) 보도자료 생물표본 디지털이미지의 콘텐츠화로 폭넓은 활용

대상사업 2. 담수생물자원 확보·공여 확대

  • 담수 생명연구자원의 국가적 활용을 위한 지원 강화
  • 담수생물자원은행의 국제적 지위 향상으로 자원은행 이용자의 신뢰도 향상
  • 고객과의 소통 확대로 담수생물자원은행 만족도 상승

생물자원 배양체, 추출물 확보

  • 시료채집
  • 순수분리
  • 동정

자원특성에 따른 안정적 보존 관리

  • 담수조류 생체 보존 사진
    담수조류 생체 보존
  • 세균·균류·천연물 동결 보존 사진
    세균·균류·천연물 동결 보존
  • 동결 건조 보존 사진
    동결 건조 보존

주요시설 현황

01.시료 전처리 실 (·소독, 분쇄, 필터 처리 등), 02.분리배양실(·배양체 순수 분리 등), 03.대량배양실(·배양체 매스 확보), 04.담수조류 생체 보존실(·담수 조류 생체 보존 ·32,000개 보관가능), 05.동결건조 보관실(·세균 등 장기보존(10년) ·800,000개 보관가능), 06.유전자원 수장고(·조류, 세균, 균류 보존 ·312,000개 보관가능), 07.추출물 보관실(·추출물 보존 ·78,000개 보관가능), 08.액체질소 보관실(·세균, 균류 보존 ·100,000개 보관가능)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2023년 운영실적

2023년 주요성과

  • 미개척 분류군 생물종(18종)을 포함한 담수생물 신종·미기록종 351종 발굴
  • 11,924종(누적)의 담수생물표본 확보
  • 담수생물표본의 디지털 이미지 대국민 공개(980건)
  • 생물소재 다양성 5,937종(누적), 소재 분양 5,324개
  •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
  • 담수생물자원은행 이용 만족도 92.1점
  • 수요자의 소재 활용성과 140건

우수실적

미개척 분류군 발굴 본격화

  • 국가생물자원의 범위 확대를 위해 다양한 생물군에서 미개척 분류군 발굴 필요
  • 다각적 종 발굴 전략에 따라 미개척 분류군 발굴 추진
  • 옛새우류 사진 신규 미탐사 서식지 혼합대에서 발굴한 옛새우류
  • 습지플라나리아류 사진 국제협력 연구로 발굴한 신종 습지플라나리아류

다양한 생물군에서 미개척 분류군
신·미기록종 18종 발굴
(전년 대비 200% 증가)

집에서 만나는 우리나라 담수생물, 고화질 이미지 980점 공개

  • 공공재인 생물표본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 필요
  • 금개구리(멸종위기 2급), 각시붕어(고유종) 등 주요 담수생물 415종, 980점 고화질 디지털 이미지의 대국민 공개
  • 금개구리 사진 멸종위기 2급
    금개구리
  • 각시붕어 사진 고유종
    각시붕어

생물표본 이미지의 자유로운 활용으로
담수생물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및
공공성 제고

담수생물자원은행,
이용 만족도 우수등급으로 상향

  • 외부 수요 파악,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수요자 중심 운영체제 마련
  • ① 잠재고객 대상 수요조사
       → 수요자 필요 소재, 정보, 서비스 제공
    ② 실수요자와 소통을 위한 간담회 개최
       → 실수요자 의견을 은행 운영에 반영
  • 21년(82.2점), 22년(87.4점), 23년(92.1점) 이용 만족도
    점수
  • (수요자)미세조류 자원의 검색 어려움 → (공급자)미세조류 일괄 검색 기능 구축 완료, (수요자)소재의 종 및 계통 다양성 부족 → (공급자)분류군별 다양성 연5% 증가 계획 수립, (수요자)미세조류 독성 유전자 정보 필요 → (공급자)차년도 남조류 독성 생성능 여부 연구 기획 수요자 간담회
    의견반영

소재를 활용하는 고객들의 편의성
증대 방안 모색으로 만족도 제고
(’22년 87.4점 → ’23년 92.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