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표
담수생물다양성 보전과 기후변화 대응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견인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 다양성 예측평가
~2022년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확립 및 낙동강 2개 중권역 조사
- 담수생물다양성 분석을 위한 환경유전자 기법 도입 및 사전 연구
2023년~2025년
- 낙동강 유역 상·중·하류 중권역(20개)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완료
- 환경유전자를 활용한 수서곤충 분석법 정립 수서곤충 유전정보 DB 구축
- 담수 환경별 환경유전자 분석법 매뉴얼 마련
(’23년 여울, ’24년 흐름, ’25년 소 환경)
- 환경유전자의 수서곤충 탐지율 50% 달성
2026년~2028년
- 한강, 금강, 영산강 유역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로 확대
- 환경유전자 분석 대상 생물 분류군을 담수어류 및 부착돌말류로 확대
- 환경유전자로 담수어류 및 수서곤충 탐지율 90% 이상 달성
-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담수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보완·대체(~’30년)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 다양성 연계 연구
~2022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 (16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증식기술 개발
(큰바늘꽃)
2023년~2025년
- 멸종위기 담수어류와 식물 중심으로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18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 조사, 유전다양성 분석 및 증식기술 개발(’23년 독미나리, ’24년 물고사리, ’25년 선제비꽃)
- 담수습지 퇴적토의 탄소 저장량 규명(우포늪, 3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 기능 연구 및 탄소순환 예측 모델 개발
2026년~2028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 확보 대상 분류군을 무척추 동물로 확대(19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외 증식기술 개발(3건)
- 다양한 유형별 담수습지로 확대(이탄습지, 천변습지 등 5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탄소 순환) 모델 적용, 개선 및 고도화
대상사업 1.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낙동강 유역 지표수계(하천) 및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담수생물다양성 조사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맞춤형 생물다양성 분석 기법 개발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대상사업 2.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분포조사 및 자원 확보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증식・복원기술 개발
- 담수습지의 탄소 저장량 및 습지에 분포하는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규명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2024년 운영실적
우수실적
담수 멸종위기종 물고사리의 인공증식 '최초' 성공
- 양치식물인 물고사리의 특성상 포자를 이용해야 함에 따라 증식 난이도 상승
- 온도, 광, 영양분 등 최적 발아 조건 도출, 인공종자화를 통한 발아 효율 개선
물고사리 인공증식 매뉴얼
물고사리의 인공증식 기술 매뉴얼 작성으로 서식지외에서 안정적인 보전 및 대량증식 기반 기술 확보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수서곤충 탐지 기술 국외 최고 수준 대비 90% 달성
- 환경유전자 분석 단계별 점검 및 개선
- 현장시료 전처리 시간 단축, 오염 감소 등 환경유전자 분석법 개선으로 효율 증진 및 종 탐지율의 획기적 향상
수서곤충 탐지율(%)
높은 탐지율 달성으로 멸종위기종, 외래종 탐지 등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활용 기반 확보
담수 돌말류의 '체내 탄소 함량' 산정 방법 국내 '최초' 개발
- 담수 퇴적토 및 담수생물의 탄소 흡수·저장 연구법 부재
- 담수생물(돌말류)의 표준화된 탄소 함량 측정 방법 개말
- 담수 돌말류의 형태별 부피·면적을 구하는 공식 개발 및 체내 탄소 함량 측정
돌말류 체적을 활용한 탄소함량 측정법 예시
담수생물(돌말류)에 의한
습지의 탄소 흡수·저장연구 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