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사업목표

담수생물다양성 보전기후변화 대응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견인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 다양성 예측평가

~2022년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확립 및 낙동강 2개 중권역 조사
  • 담수생물다양성 분석을 위한 환경유전자 기법 도입 및 사전 연구

2023년~2025년

  • 낙동강 유역 상·중·하류 중권역(20개)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완료
  • 환경유전자를 활용한 수서곤충 분석법 정립 수서곤충 유전정보 DB 구축
    - 담수 환경별 환경유전자 분석법 매뉴얼 마련
    (’23년 여울, ’24년 흐름, ’25년 소 환경)
  • 환경유전자의 수서곤충 탐지율 50% 달성

2026년~2028년

  • 한강, 금강, 영산강 유역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로 확대
  • 환경유전자 분석 대상 생물 분류군을 담수어류 및 부착돌말류로 확대
  • 환경유전자로 담수어류 및 수서곤충 탐지율 90% 이상 달성
  •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담수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보완·대체(~’30년)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 다양성 연계 연구

~2022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 (16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증식기술 개발
    (큰바늘꽃)
  • 탄소중립 관련 연구과제 기획

2023년~2025년

  • 멸종위기 담수어류와 식물 중심으로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18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 조사, 유전다양성 분석 및 증식기술 개발(’23년 독미나리, ’24년 물고사리, ’25년 선제비꽃)
  • 담수습지 퇴적토의 탄소 저장량 규명(우포늪, 3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 기능 연구 및 탄소순환 예측 모델 개발

2026년~2028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 확보 대상 분류군을 무척추 동물로 확대(19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외 증식기술 개발(3건)
  • 다양한 유형별 담수습지로 확대(이탄습지, 천변습지 등 5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탄소 순환) 모델 적용, 개선 및 고도화

대상사업 1.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낙동강 유역 지표수계(하천) 및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담수생물다양성 조사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맞춤형 생물다양성 분석 기법 개발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사진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사진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대상사업 2.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분포조사 및 자원 확보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증식・복원기술 개발
  • 담수습지의 탄소 저장량 및 습지에 분포하는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규명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이미지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사진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사진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표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2024년 운영실적

우수실적

담수 멸종위기종 물고사리의 인공증식 '최초' 성공

  • 물고사리의 인공증식 기술개발 필요
  • 양치식물인 물고사리의 특성상 포자를 이용해야 함에 따라 증식 난이도 상승
  • 온도, 광, 영양분 등 최적 발아 조건 도출, 인공종자화를 통한 발아 효율 개선
  • 물고사리 인공증식 매뉴얼 사진 물고사리 인공증식 매뉴얼

물고사리의 인공증식 기술 매뉴얼 작성으로 서식지외에서 안정적인 보전 및 대량증식 기반 기술 확보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수서곤충 탐지 기술 국외 최고 수준 대비 90% 달성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수서곤충 탐지율 저조
  • 환경유전자 분석 단계별 점검 및 개선
    • 현장시료 전처리 시간 단축, 오염 감소 등 환경유전자 분석법 개선으로 효율 증진 및 종 탐지율의 획기적 향상
  • 수서곤충 탐지율(%) 사진 수서곤충 탐지율(%)

높은 탐지율 달성으로 멸종위기종, 외래종 탐지 등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활용 기반 확보

담수 돌말류의 '체내 탄소 함량' 산정 방법 국내 '최초' 개발

  • 담수 퇴적토 및 담수생물의 탄소 흡수·저장 연구법 부재
  • 담수생물(돌말류)의 표준화된 탄소 함량 측정 방법 개말
    • 담수 돌말류의 형태별 부피·면적을 구하는 공식 개발 및 체내 탄소 함량 측정
  • 돌말류 체적을 활용한 탄소함량 측정법 예시 사진 돌말류 체적을 활용한 탄소함량 측정법 예시

담수생물(돌말류)에 의한
습지의 탄소 흡수·저장연구 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