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 이용기술 개발

사업목표

유용 담수생물자원 활용 확대를 통한 지속가능미래가치 창출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자원 활용기술 개발

~2022년

  • 기초효능 기반 분류군별 담수 생물소재 확보
    - 기술성숙도 향상 소재 및 대량화 기반 기술 12건 확보
  • 환경 현안 대응 유용 미생물 발굴
    - 유용 미생물 42종 확보 및 29건의 소재 개발

2023년~2025년

  • 보유소재의 기술 수준 향상 및 실증화 연구
    - 소재 실증화 및 대량화 기반 기술 발굴 39건 확보
  • 기업 협업 모델 구축을 통한 환경 현안 유용 미생물 발굴
    - 소재 46건 개발, 현장연구 18건

2026년~2028년

  • 생물자원 활용 소재 발굴 및 대량화 기술 확보
    - 기업 연계 실증화 기반의 소재 발굴 80건 및 제품 개발 6건
  • 환경 현안 대응 소재 풀 구축 및 실증연구 강화
    - 생물 소재 92건 개발, 현장 적용 연구를 통한 기술이전 10건

보유기술의 산업화 촉진

~2022년

  • 제품 개발 목적의 기업 필요기술 지원 및 표준작업지침서 개발·제공 8건 수행
  • 기업지원에 따른 기술사업화(제품 개발) 5건 달성
  • 우수 연구성과의 산업계 활용 활성화를 위해, 확보된 기술(특허)에 대한 이전율 ’22년 21% 달성

2023년~2025년

  • 기업 필요 기술 지원 지속 및 표준작업지침서 개발·제공 26건
  • 기업지원에 따른 기술사업화(제품 개발) 8건 달성
  • 자원관의 기술이전율(21%)을 ’25년까지 29.9%로 상향
    ※공공연구기관의 최근 5년 평균 기술이전율 35.7%

2026년~2028년

  • ’28년까지 기업 필요기술 지원 지속 및 표준작업 지침서 개발·제공 59건
  • 기업지원에 따른 기술사업화(제품 개발) 11건 달성
  • ’28년까지 공공기관 최근 5년 평균 기술이전율 (35.7%) 수준 이상 제고

대상사업 1. 담수생물자원 활용기술 개발

  • 담수생물자원 활용 식・의약 및 향장 소재 개발
  • 환경 분야 현안 대응을 위한 소재 개발
  • 담수생물소재 활용 지역상생을 위한 농림축산분야 실증화 연구
  • 천연추출물 제조 사진 천연추출물 제조
  • 생리활성 평가 사진 생리활성 평가
  • 유효(지표)물질 탐색 사진 유효(지표)물질 탐색
  • 큰도꼬마리 미백 기능성 특허 등록 사진 큰도꼬마리 미백 기능성 특허 등록
  • 좀개갓냉이 국제 화장품 원료집(ICID) 등재 사진 좀개갓냉이 국제 화장품 원료집(ICID) 등재

담수 미생물자원의 바이오 소재화 연구

환경분야

  • 특정수질유해물질 1,4-다이옥산 분해 미생물 사진 특정수질유해물질 1,4-다이옥산 분해 미생물
  • 폐유기자원을 이용한 바이오차(미생물 담체) 제조 사진 폐유기자원을 이용한 바이오차(미생물 담체) 제조
  • 담수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있는 농업부산물(들깨줄기) 사진 담수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있는 농업부산물(들깨줄기)
  • 담수균류위 조건별 농업부산물 분해율 사진 담수균류위 조건별 농업부산물 분해율

농축산분야

  • 악취저감 미생물소재의 지역농가 현장적용 연구 사진 악취저감 미생물소재의 지역농가 현장적용 연구
  • 악취저감 모사장치(바이오필터) 적용실험 사진 악취저감 모사장치(바이오필터) 적용실험
  • 식물 가뭄스트레스 경감 유용 미생물 연구 사진 식물 가뭄스트레스 경감 유용 미생물 연구
  • 식물 가뭄스트레스 경감 유용 미생물의 목본류 대상 현장적용 연구 사진 식물 가뭄스트레스 경감 유용 미생물의 목본류 대상 현장적용 연구

식품·의약분야

  • 마이코프로테인 생산균주 균사체 분말 사진 마이코프로테인 생산균주 균사체 분말
  • 고체 배양 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시료 표 고함량 마이코프로테인 새산능 검증
  • 분리 배양된 돌말류 구조 분석 사진 분리 배양된 돌말류 구조 분석
  • 돌말류 바이오실리카 전처리 전, 후 사진 돌말류 바이오실리카 전처리 전, 후
  • 바이오실리카 약물담지 가능성 확인 사진 바이오실리카 약물담지 가능성 확인

대상사업 2. 보유 기술의 산업화 촉진

  • 제품 개발 목적의 기업 맞춤형 기술이전 및 기술지원 확대
  • 기술홍보 및 협력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보유기술의 산업계 활용성 강화

보유 기술의 산업화 촉진

  • 기술이전(총유기탄소 저감 기술) 사진 기술이전(총유기탄소 저감 기술)
  • 생물소재 활용 기술상담 사진 생물소재 활용 기술상담
  • 보유기술 홍보 사진 보유기술 홍보
  • 기술설명회 개최 사진 기술설명회 개최

2024년 운영실적

우수실적

역대 최고 금액의 기술료 계약체결 기록

  • 매년 증가하는 기술이전 건수 대비 기술료 수입 감소 추세
  • 기업의 대규모 실증연구 시선을 이용한 자원관 소재의 현장 적용 실험 성공적 수행
  • 세부 기술이전 절차 정비 및 기술료 산정기준 마련
  • 기술이전 체결 사진 기술이전 체결
  • 기관 연구사업 기술료 사진 기관 연구사업 기술료

공동연구한 대기업에 기술을 이전하여 기관설립 이후 최고 금액(118백만)의 기술료 계약체결 달성

실증 시험지 확보로 연구성과의 산업화 가능성 증대

  • 기후 적응력 제고 및 농업용수 절감을 위한 친환경 기술개발 분야에 대한 시장 수요 발생
  • 가뭄 스트레스 경감 미생물 실증 성공
    • 실외 경작지의 가뭄 조건에서 수확량 등 생육지수 평균 89% 이상 유지
  • 배추 경작지에서 가뭄스트레스 경감 사진 배추 경작지에서 가뭄스트레스 경감

성과기반으로 환경복원 사업
기업체에 기술이전

담수균류 유래 대체 단백질 소재 개발로 담수생물자원의 상용화 촉진

  • 가축 사료용 곡물 소비 급증, 온실가스 배출 문제 등으로 지속가능한 대체 단백질 소재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
  • 방송 인터뷰, 영상자료 제공 등 적극적 대국민 홍보로 연구성과 확산 노력
  • 대국민 홍보 사진 대국민 홍보
  • 기술이전 사진 기술이전

대체 단백질 생산 담수균류 물질·기술이전으로, 산업계로 대체 단백질 소재 및 기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