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표
담수생물다양성 보전과 기후변화 대응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견인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 다양성 예측평가
~2022년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확립 및 낙동강 2개 중권역 조사
- 담수생물다양성 분석을 위한 환경유전자
기법 도입 및 사전 연구
2023년~2025년
- 낙동강 유역 상·중·하류 중권역(20개)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완료
- 환경유전자를 활용한 수서곤충 분석법 정립 수서곤충 유전정보 DB 구축
- 담수 환경별 환경유전자 분석법 매뉴얼 마련
(’23년 여울, ’24년 흐름, ’25년 소 환경)
- 환경유전자의 수서곤충 탐지율 50% 달성
2026년~2028년
- 한강, 금강, 영산강 유역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로 확대
- 환경유전자 분석 대상 생물 분류군을 담수어류 및 부착돌말류로 확대
- 환경유전자로 담수어류 및 수서곤충 탐지율 90% 이상 달성
-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담수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보완·대체(~’30년)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 다양성 연계 연구
~2022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 (16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증식기술 개발
(큰바늘꽃)
2023년~2025년
- 멸종위기 담수어류와 식물 중심으로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18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 조사, 유전다양성 분석 및 증식기술 개발(’23년 독미나리, ’24년 물고사리, ’25년 선제비꽃)
- 담수습지 퇴적토의 탄소 저장량 규명(우포늪, 3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 기능 연구 및 탄소순환 예측 모델 개발
2026년~2028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 확보 대상 분류군을 무척추 동물로 확대(19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외 증식기술 개발(3건)
- 다양한 유형별 담수습지로 확대(이탄습지, 천변습지 등 5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탄소 순환) 모델 적용, 개선 및 고도화
대상사업 1.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낙동강 유역 지표수계(하천) 및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담수생물다양성 조사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맞춤형 생물다양성 분석 기법 개발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대상사업 2.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분포조사 및 자원 확보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증식・복원기술 개발
- 담수습지의 탄소 저장량 및 습지에 분포하는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규명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2023년 운영실적
2023년 주요성과
- 수서곤충의 유전정보 DB화와 여울환경의 실험법 매뉴얼화로 환경 유전자 분석법의 탐지율 개선(전년대비 14% 개선)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현황 조사 및 증식을 위한
표본·종자·유전다양성 정보 확보
- 멸종위기 담수식물(독미나리)의 서식지외 증식 성공으로
복원 가능성 제고
- 낙동강 유역 담수생물다양성 조사를 지표수계에서 지하수계로 확대
- 담수습지 퇴적환경의 탄소저장량 최초 규명
우수실적
지표수계에서 지하수계로 생물다양성 조사 범위 확대
- 접근의 어려움으로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우물 등)의 생물다양성 조사 매우 미비
- 낙동강 유역 7개 중권역 25개 지점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수행
- ① 현장조사 장비 자체개발 및 특허출원으로 조사 효율성 증대
② 해외전문가 초청으로 지하수계 조사 방법 및 서식 생물에 대한 이해도 제고
③ 혼합대 조사 방법 매뉴얼화
<조사 장비 개선 전과 후>
국가적으로 조사가 미비했던 지하수계의 생물다양성
조사에 착수하여 지하수계 생물다양성에 하천 정비 등의
환경변화가 미치는 영향 국내 최초로 규명
담수 습지 퇴적환경의 탄소 저장량 최초 규명
- 탄소흡수원으로써 담수환경의 기능 규명에 대한 연구 미비
- 담수 습지와 습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탄소 저장·흡수량을 국내 최초로 규명 추진
- 우포늪의 탄소저장량과 담수 미세조류의 기여량 산출로
담수 환경과 담수 미생물의 가치 재발견
- MBC 다큐멘터리 보도로 탄소흡수원으로써 담수 미세조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기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