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사업목표

담수생물다양성 보전기후변화 대응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견인

중장기 사업추진 방향

  • ~2022년
  • 2023년~2025년
  • 2026년~2028년

담수생물 다양성 예측평가

~2022년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확립 및 낙동강 2개 중권역 조사
  • 담수생물다양성 분석을 위한 환경유전자 기법 도입 및 사전 연구

2023년~2025년

  • 낙동강 유역 상·중·하류 중권역(20개)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완료
  • 환경유전자를 활용한 수서곤충 분석법 정립 수서곤충 유전정보 DB 구축
    - 담수 환경별 환경유전자 분석법 매뉴얼 마련
    (’23년 여울, ’24년 흐름, ’25년 소 환경)
  • 환경유전자의 수서곤충 탐지율 50% 달성

2026년~2028년

  • 한강, 금강, 영산강 유역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로 확대
  • 환경유전자 분석 대상 생물 분류군을 담수어류 및 부착돌말류로 확대
  • 환경유전자로 담수어류 및 수서곤충 탐지율 90% 이상 달성
  • 환경유전자 분석법의 담수생물 다양성 조사방법 보완·대체(~’30년)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 다양성 연계 연구

~2022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 (16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증식기술 개발
    (큰바늘꽃)
  • 탄소중립 관련 연구과제 기획

2023년~2025년

  • 멸종위기 담수어류와 식물 중심으로 보전·복원을 위한 자원 확보(18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 조사, 유전다양성 분석 및 증식기술 개발(’23년 독미나리, ’24년 물고사리, ’25년 선제비꽃)
  • 담수습지 퇴적토의 탄소 저장량 규명(우포늪, 3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 기능 연구 및 탄소순환 예측 모델 개발

2026년~2028년

  • 멸종위기 담수생물 확보 대상 분류군을 무척추 동물로 확대(19종)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서식지외 증식기술 개발(3건)
  • 다양한 유형별 담수습지로 확대(이탄습지, 천변습지 등 5지점)
  • 탄소 흡수·저장·배출(탄소 순환) 모델 적용, 개선 및 고도화

대상사업 1.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낙동강 유역 지표수계(하천) 및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담수생물다양성 조사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맞춤형 생물다양성 분석 기법 개발

담수생물다양성 예측・평가 연구

  •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사진 담수 혼합대 생물다양성 조사
  •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등)의
    서식 확증종 표본 이미지
  •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CT를 활용한 담수 혼합대
    서식지 분석 결과
  •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사진 환경유전자 시료 채집
  •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 생물다양성 분석 흐름도

대상사업 2.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분포조사 및 자원 확보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증식・복원기술 개발
  • 담수습지의 탄소 저장량 및 습지에 분포하는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규명

기후변화・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연계 연구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이미지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 및 표본 확보
  •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사진 멸종위기 담수식물의 종자발아 실험
  •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사진 담수습지의 퇴적토 코어 시료
  •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표 담수생물(미세조류)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 분석

2023년 운영실적

2023년 주요성과

  • 수서곤충의 유전정보 DB화와 여울환경의 실험법 매뉴얼화로 환경 유전자 분석법의 탐지율 개선(전년대비 14% 개선)
  • 멸종위기 담수생물의 현황 조사 및 증식을 위한
    표본·종자·유전다양성 정보 확보
  • 멸종위기 담수식물(독미나리)의 서식지외 증식 성공으로
    복원 가능성 제고
  • 낙동강 유역 담수생물다양성 조사를 지표수계에서 지하수계로 확대
  • 담수습지 퇴적환경의 탄소저장량 최초 규명

우수실적

지표수계에서 지하수계로 생물다양성 조사 범위 확대

  • 접근의 어려움으로 지하수계(혼합대, 동굴, 우물 등)의 생물다양성 조사 매우 미비
  • 낙동강 유역 7개 중권역 25개 지점의 지하수계 생물다양성 조사 수행
  • ① 현장조사 장비 자체개발 및 특허출원으로 조사 효율성 증대
    ② 해외전문가 초청으로 지하수계 조사 방법 및 서식 생물에 대한 이해도 제고
    ③ 혼합대 조사 방법 매뉴얼화
  • 조사 장비 개선 전과 후 사진 <조사 장비 개선 전과 후>

국가적으로 조사가 미비했던 지하수계의 생물다양성
조사에 착수하여 지하수계 생물다양성에 하천 정비 등의
환경변화가 미치는 영향 국내 최초로 규명

담수 습지 퇴적환경의 탄소 저장량 최초 규명

  • 탄소흡수원으로써 담수환경의 기능 규명에 대한 연구 미비
  • 담수 습지와 습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탄소 저장·흡수량을 국내 최초로 규명 추진
  • 우포늪의 탄소저장량과 담수 미세조류의 기여량 산출로
    담수 환경과 담수 미생물의 가치 재발견
  • MBC 다큐멘터리 보도로 탄소흡수원으로써 담수 미세조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기여
우포늪 전체 퇴적토의 TOC 저장량 산정